티스토리 뷰
6~9월은 아이들에게 전염병이 가장 많이 퍼지는 시기입니다. 수족구병, 아데노바이러스, 소아 식중독, 유행성 결막염까지 여름철 대표 전염병의 원인, 증상, 발생 시기, 치료 및 예방법을 종합적으로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예방과 치료법을 알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
1. 감염 원인과 전파 경로
|
PART 1. 수족구병 – 손, 발, 입안 수포와 고열의 주범
원인: 콕사키바이러스(A16형) 또는 엔테로바이러스(71형) 감염. 전염성 높음.
발생 시기: 6월~9월, 특히 유치원·어린이집 등 단체생활 환경에서 유행.
주요 증상:
- 고열 (38도 이상)
- 입안 궤양 및 침 흘림
- 손·발·엉덩이 수포성 발진
- 식욕 저하, 보채는 행동
치료: 특별한 치료제 없이 해열제, 수분 보충, 통증 완화 등 대증요법.
예방법:
- 손 씻기 철저
- 장난감, 젖병, 수건 소독
- 증상 시 등원 자제 (최소 5일)
PART 2. 아데노바이러스 – 감기부터 눈병까지
원인: 50종 이상의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자 타액, 분비물로 전파.
발생 시기: 연중 발생하나 여름철 활동량 증가 시 확산.
주요 증상:
- 고열, 인후통, 콧물
- 구토, 설사, 복통
- 결막염 (충혈, 눈곱, 눈물)
치료: 해열제, 수분 보충, 항생제 안약 등 증상별 완화.
예방법:
- 수건, 안약 공유 금지
- 유행 시 수영장 등 다중시설 자제
- 손 씻기 철저
PART 3. 소아 식중독 – 한 끼 실수로 탈 나는 여름
원인: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 노로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
발생 시기: 5월~8월, 특히 도시락·캠핑·외부 식사 시 취약.
주요 증상:
- 복통, 구토, 설사
- 고열, 탈수, 무기력감
치료:
- 경증: 수분 섭취, 휴식
- 중증: 수액 치료, 항생제 (원인균 따라)
예방법:
- 음식은 2시간 이내 섭취
- 해산물·육류 완전 익히기
- 칼·도마 분리 사용
- 도시락 보관 시 아이스팩 활용
PART 4. 유행성 결막염 – 여름철 눈병 주의보
원인: 아데노바이러스 또는 엔테로바이러스70형.
발생 시기: 6~9월, 수영장·보육시설 중심으로 확산.
주요 증상:
- 양쪽 눈 충혈, 눈곱, 눈물
- 가려움, 통증, 이물감
- 눈꺼풀 붓기
치료:
- 항생제 안약 (2차 감염 예방)
- 냉찜질, 인공눈물 사용
- 병원 진료 시 격리 권고
예방법:
- 개인 수건·베개 구분
- 손으로 눈 비비지 않기
- 안약 공유 금지
질환 썸네일 문구 배경 컬러 포인트 아이콘
전염병 | 증 상 |
수족구병 | "입 안 물집, 손·발 발진… 수족구병 주의!" |
아데노바이러스 | "감기인가? 결막염인가? 아데노바이러스!" |
소아 식중독 | "여름철 한 끼 실수… 식중독 이렇게 막으세요!" |
유행성 결막염 | "눈이 가렵고 충혈? 결막염 유행 중!" |
✅ 마무리: 소아 전염병, 예방이 최고의 치료입니다
이 4가지 전염병 모두 전염성 강하고 치료제 없는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하지만 생활 습관만 잘 지켜도 상당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이가 감염되었을 경우 빠르게 격리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주변 확산을 막는 첫걸음입니다.
부모가 실천할 4가지:
- 손 씻기 철저히 가르치기
- 외출 후 옷 갈아입히기
- 증상 보이면 즉시 병원 방문
- 전염병 의심 시 등원 중지
우리 아이의 건강한 여름은 부모의 준비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