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환자분들에게 “미술 치료사입니다”라고 인사드리면, “아이고, 저는 그림 못 그립니다”며 손사래를 치시던 분들이 많으셨습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AI 기술에 익숙해지셔서, 프로필 사진이나 가족사진을 애니메이션 풍으로 바꾼 이미지를 보여주시며 “이런 거 좋아해요”라며 관심을 보이시는 분들도 꽤 있습니다.

최근에는 과거 어린 시절의 사진과 지금의 사진을 함께 넣어, ‘과거의 나’를 ‘지금의 내가 안아주는’ 장면을 담은 영상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혹시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처럼 ‘과거의 나를 지금의 내가 안아주는’ 이미지는 내면의 상처받은 어린 자아를 치유하는 상징으로, 많은 사람에게 감동이 됩니다. 

미술치료 집단에서 피어나는 공감과 치유

이 미술 치료 집단에 참여한 환자들은, 그림을 잘 그려야 한다는 부담 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모입니다. 활동은 단순한 그림 그리기를 넘어, 마음을 나누고 감정을 들여다보는 시간으로 이어집니다.

“몇 살의 나를 안아주고 싶으세요? 그 시절의 나는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었나요?”

이러한 질문을 통해 환자들은 자연스럽게 자신의 과거를 떠올리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깊이 공감하게 됩니다.

외로움, 실패, 좌절—삶에서 누구나 한 번쯤 겪는 보편적인 고난의 순간들이 이야기로 펼쳐지며, 이는 자기 삶을 돌아보는 계기가 됩니다. 동시에,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되기도 합니다.

병실 침대에 누워 막막함을 느끼던 시간들, 천장만 바라보며 세상과 단절된 듯했던 감정들이, 이 따뜻한 나눔을 통해 서서히 녹아들기 시작합니다. 누군가의 아픔에 귀 기울이고, 서로 닮은 마음을 발견하며, 공감이라는 온기가 조용히 흐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그때, 조용히 이야기를 듣고 있던 한 중년 여성 환자분이 조심스럽게 말문을 열었습니다.

“다른 분들 이야기 들으니, 저에게도 그렇게 힘들고 도움이 필요했던 어린 시절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가장 안아주고 싶은 순간을 떠올려 보라면, 암 진단을 받던 날이 떠올라요.
멍하니 의사 선생님 말씀을 듣던 그날의 저를 안아주고 싶어요.”

그 말을 들은 모든 환자분들이 고개를 끄덕이며, 자신에게도 있었던 ‘그날’에 대한 기억을 조심스레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 “그날 귀가 잘 안 들리는 것처럼 아득했어요.”
  • “꿈이다, 꿈일 거야… 그렇게 생각하면서 지하철역까지 걸었어요.”
  • “남편이 보호자로 옆에 있었는데 울먹이며 의사 선생님께 뭔가 묻고, 선생님은 대답하시고…
    근데 저는 현실감이 없었어요. 이게 무슨 상황인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이처럼 미술치료 집단은 단순한 활동을 넘어, 삶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서로를 안아주는 진심 어린 공간이 됩니다. AI 이야기로 시작된 대화는 결국 인간의 마음을 향해 나아가고, 누구나 품고 있는 상처받은 ‘나’를 이해하고 위로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과거의 나를 안아주는 연습, 회복된 내가 건네는 위로

오늘의 내가 그때의 나를 안아준다면 관련 이미지오늘의 내가 그때의 나를 안아준다면 관련 이미지
오늘의 내가 그때의 나를 안아준다면

 

암 진단을 받았던 날—그날의 이야기는, 같은 경험을 한 환자들의 마음을 단단히 이어주는 깊은 공감의 주제가 되어주었습니다.

우리는 그날의 감정과 장면을 조심스럽게 꺼내어 말로 나눈 뒤, 그림으로 표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한쪽에는 진단을 받고 울고 있는 나를,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그 나를 따뜻하게 안아주는 **‘회복된 나’**의 모습을 그립니다.

비록 지금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더라도, 언젠가 건강해진 내가 과거의 슬펐던 나를 품에 안고 위로해주는 장면을 그려보는 것이죠.
이는 ‘내가 나를 안아주는’ 마음 훈련입니다.

이런 작업은 자기 자신을 자비롭게 바라보고 따뜻하게 감싸 안는 연습이 됩니다.
동시에 암 진단을 받았던 그날—손이 떨리고, 눈물이 저절로 흐르고, 정신이 아득해졌던 그 감각에 조심스럽게 다시 접촉해보는 시간입니다.

이러한 감정의 재접촉은 단순한 회상이 아닌, 치유와 회복의 과정입니다.
그날의 기억은 고통이 아닌 새로운 서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암 환자의 삶을 다시 써 내려가는 정서적 자원이 됩니다.


이글을 읽는 모든이들에게 

자신의 지난날 또는 부모님의 병환에 있었을때 

이 질문을 함께 던져봅니다:

 

“암(질병) 진단 이후, 여러분의 삶은 얼마나 변했나요? 얼마나 많은 도전을 지나왔나요?”

두려움, 외로움, 막막함이 끊임없이 밀려오는 길.


하지만 그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여러분의 용기와 존엄은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리고 상상해보세요.

미래의 내가, 건강하고 웃으며 오늘의 나를 바라봅니다.
그 회복된 나는 말합니다.

 

“수고했어. 잘 버텨줘서 고마워. 지금의 너를 안아주고 싶어.”

 

과거의 나를 오늘의 내가 위로하고,
오늘의 나를 미래의 내가 응원합니다.

 

그리고 오늘의 저는, 이 글을 읽는 당신들의 회복의 길이
너무 외롭지 않기를, 너무 두렵지 않기를, 너무 험난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암수술 10년만에 어떤 미술치료교수의 글을 읽고

마치 기댈 언덕처럼 느껴져 스스로 위로 받아 그글을 조금 각색하였고 미술치료의 힘을 새삼 느끼며

혹시 힘드신일이 있으신 분은 이글을 읽고 조금이라도 위로가 되었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