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국과 유럽에서 주로 발생해 ‘서구형 질환’으로 불리던 대장암이 이제는 아시아에서도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한국은 20~30대 젊은 층에서 매년 약 4%씩 환자 수가 늘고 있다. 아시아인의 밥상에 스며든 서구형 식습관이 대장암 위험을 키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아시아인(특히 한국인을 포함한) 대상의 대규모 메타 분석에서 하루 알코올 30g 이상 섭취 시(소주 대략 3잔, 또는 맥주 500ml 정도), 대장암(결장암+직장암) 발병 위험이 평균 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트 뉴스+6

 

삼겹살에 소주 3잔만 마셔도…한국인 대장암 위험 64% 뛴다
관련 이미지



기본모드
삼겹살에 소주 3잔만 마셔도…한국인 대장암 위험 64% 뛴다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강대희 교수와 중앙대 식품영양학과 신상아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한국‧일본‧중국‧대만‧싱가포르 등 아시아 5개국에서 수행된 82편의 코호트 연구를 종합 분석한 결과, 서구형 식습관과 대장암 발생 사이의 뚜렷한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고기‧가공육‧술, 대장암 위험 키운다

 

연구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육류 섭취가 많을수록 대장암 위험은 18% 증가하며, 특히 가공육(소시지·햄 등)은 단독으로도 18% 위험을 높입니다 루리웹+7조선일보+7헬스조선+7.  고기‧가공육‧알코올은 아시아인에게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확실한 요인이었다. 육류 섭취량이 많을수록 대장암 위험은 18% 증가했다. 소시지나 햄 등 가공육 섭취는 단독으로도 발병 위험을 18% 끌어올렸다.

     •  흰 고기(닭·칠면조)는 전체 대장암과는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지만, 직장암의 경우에는 **40%**까지 위험을 높일 가능성을 제            시  했습니다 YouTube+9매일경제+9한국경제+9. .

 

    •  가장 강력한 위험 인자는 ‘술’이었다. 하루 30g 이상 술을 마시면 대장암 위험이 64%나 올라갔고, 결장암과 직장암 위험도 커               졌다. 알코올 30g은 순수 알코올 기준으로, 맥주 500㎖ 이상이나 소주 3잔에 해당하는 양이다.

 

    •  반면, 칼슘을 충분히 섭취한 그룹은 7% 위험 감소, **채소·과일·통곡물·저지방 단백질 중심의 ‘건강한 식단’**을 유지한 그룹은            15% 결장암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습니다 다음+2매일경제+2.

  • 해당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 아시아 5개국의 코호트 연구 82편을 종합한 최초의 대규모 아시아인 대상 메     타 분석이며, 국제 학술지 Cancer Causes & Control에 최근 게재되었습니다 .

 

 

 

 

요약 정리

위험 요인 및 효과 위험 증가 / 감소 정도
하루 알코올 30g 이상 (소주 약 3잔) ↑ 64% (대장암)
총 육류 섭취량 증가 ↑ 18%
가공육 섭취 ↑ 18%
흰 고기 섭취 (닭·칠면조) ↑ 40% (직장암)
칼슘 섭취 (우유, 멸치 등) ↓ 7%
건강한 식단 (채소·과일·통곡물 중심) ↓ 15% (결장암)

요점 정리

  • "소주 3잔만 마셔도 대장암 위험이 64% 뛴다"는 것은 하루 알코올 30g 이상 섭취 시의 통계적 위험 증가를 표현한 것으로, 해당 수치는 매우 설득력 있고 주목할 만한 근거에 기반합니다.
  • 동시에 고기·가공육도 유의하게 위험을 높이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예방을 위해서는 술과 가공육 섭취를 줄이고, 칼슘이 풍부한 식품과 채소·통곡물 중심의 균형 잡힌 식단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대규모 메타분석이다. 지금까지 식습관과 대장암 위험을 다룬 연구는 서양인 대상이 대부분이었다. 강대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서양인 위주의 분석에서 벗어나 아시아인의 식습관과 대장암 발생의 연관성을 규명한 최초의 메타분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특히 술과 가공육의 위험성을 확인한 만큼 이를 줄이는 것이 대장암 예방의 핵심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원인과 관리(Cancer Causes & Control)’에 최근 게재됐다.

 

 

 

 

반응형